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포괄수가제도

청소년 경제辭典

by econo0706 2007. 2. 12. 12:10

본문

사전  행위별수가제는 환자에게 제공되는 의료서비스 하나 하나에 대해 그 사용량이나 가격에 대해 진료비를 계산·지급하는 제도이다.

 

이에 반하여, 포괄수가제도(DRG지불제도)는 진료내용이 유사한 입원환자군에 대해 사전에 일정한 급여액을 정하여 보험진료비를 정액 지불하는 제도이다.

 

행위별수가제에 비해 지불단위의 포괄화로 의료기관의 진료비 청구와 그에 대한 심사가 간소화된다. 포괄수가제는 행위별수가제에서 발생하는 과잉진료에 따른 진료량 증대를 억제하고 적정진료 제공을 유인함으로써 보험재정 안정에 효과가 있다. 그러나 과소진료의 유인도 있다.

 

우리나라는 1997년 2월부터 수정체수술, 편도선수술, 맹장염수술, 치질수술, 탈장수술, 정상분만, 제왕절개수술, 자궁수술 등 8개 외과계 질병군에 대해 포괄수가제 시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청소년 경제辭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쇄이용자그룹(CUG)  (0) 2007.02.12
폐쇄형 전자화폐(閉鎖型 電字貨幣)  (0) 2007.02.12
포트폴리오(Portfolio)  (0) 2007.02.12
포틀래치 경제(Potlatch Economy)  (0) 2007.02.12
표준건축비(標準建築費)  (0) 2007.02.12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