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나라 경제의 투자활동이 어느 정도인가를 파악하는 지표를 말하며 크게 설비투자지표와 건설투자지표로 나뉜다.
투자활동지표는 주로 미래의 경기추세를 판단하는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통계청이 매달 발표하는 투자활동지표와 한국은행이 분기별로 발표하는 국민계정상의 투자활동지표가 있다.
통계청이 발표하는 투자활동지표는 설비와 건설부문지표로 구성된다. 설비투자 부문에는 설비투자추계, 기계류 수입액, 설비용기계 내수출하, 국내 기계수주액 등의 지표가 포함된다. 또 건설투자에는 건설기성액, 국내 건설수주, 건축허가면적 등이 포함된다. 설비투자지표 중 설비투자 추계는 설비투자재의 월별 국내생산과 수입액 중에서 수출과 중간수요 등을 차감해 설비투자의 순국내 공급규모를 추정한 것이다.
국내 기계수주는 설비용기계류 수주액을 기종과 발주자 별로 조사해 산출하며 경기선행지수의 구성항목으로 사용된다. 건설투자지표 중 건설기성액이란 건설시공 실적액으로서 대형 종합건설업체의 실적 순으로 50%의 비중이 되도록 조사해 작성하고 있다. 국내 건설수주는 건설교통부 장관 면허업체 중 기성실적이 많은 업체 순으로 비중이 54% 수준이 되도록 선정해 국내 건설공사 수주액을 조사한다.
한국은행의 국민계정상 투자활동지표는 고정투자와 재고투자로 나뉘며 이를 합쳐 총자본형성이라고 한다. 총자본형성은 총고정자본형성(고정투자)과 재고증감(재고투자)의 합이다. 재고투자란 기업이 생산활동을 위해 보유하고 있는 원재료·반제품·완성품 등의 재고가 일정기간 어느 정도 증가했는가를 가리키는 순증가분을 의미한다.
투자전략(投資戰略) (0) | 2007.02.12 |
---|---|
투자협정(投資協定) (0) | 2007.02.12 |
트래킹시스템(Tracking System) (0) | 2007.02.12 |
트레이드마크(Trademark) (0) | 2007.02.12 |
트로이목마(Trojan horse) (0) | 2007.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