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해방과 더불어 예기치 못한 국토분단은 한국사회의 모든 면에서 극도의 혼란을 예기하였습니다.
무엇보다도 제조업생산의 급격한 감소와 남한은 경공업, 북한은 중공업의 경제적 보완성을 단절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와 더불어 해방 이후 북쪽 및 해외동포들이 대거 유입되어, 1948년 남한인구의 10%이상을 차지함으로써 식량난을 가중시켰습니다.
아울러 해방전 일본인들의 통화남발로 인하여 1946년 서울의 도매물가는 1944년의 7배 이상을 기록할 정도로 극심한 인플레이션상태에 있었습니다. 정부수립 준비기간이자 미군정 통치기간이었던 1948년까지 국민들의 사상적 대립과 혼란 또한 심각했습니다.
1948년 8월 정부수립이후에야 비로소 경제는 어느 정도 안정을 되찾았습니다. 이에 따라 1949년에는 9.7%의 GNP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6.25동란은 광복 이후 안정화되어 가던 우리 사회를 또다시 극심한 경제붕괴와 혼란에 빠뜨렸습니다. 전쟁으로 인한 민간인 사상자수는 약 100만명에 달했으며 재산손실도 약 30억원달러에 달하였습니다. 이것은 1945∼61년동안 우리나라가 미국 및 UN으로부터 제공받은 원조총액과 거의 맞먹는 것이었습니다.
휴전 이후 61년까지 국내경제는 외국원조에 좌우되었습니다. 1953∼60년동안 UN한국부흥단의 1억 2,000만달러와 미국의 공식원조 17억 4,500만달러가 도입되었습니다. 이들 원조는 필요한 생필품을 제공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전쟁으로 파괴된 사회간접자본시설과 산업시설의 복구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1954∼61년에는 연평균 4.5%의 비교적 높은 성장을 기록하였습니다.
자료제공 : 재정경제부
17. 경제적 침탈의 저지운동 (0) | 2007.03.02 |
---|---|
18. 경제의 근대화운동 (0) | 2007.03.02 |
19. 일제의 경제적 침투 (0) | 2007.03.02 |
20. 경제적 저항운동의 전개 (0) | 2007.03.02 |
22. 개발연대의 경제성장 (0) | 2007.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