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사이드 피치] 야구 '3김 시대' 가고, 이동욱·이강철 초보감독 떴다

---Inside Pitch

by econo0706 2022. 9. 16. 21:21

본문

2019. 10. 05

 

‘가을야구’의 계절이 다시 찾아왔다.

 

‘가을의 고전(Fall Classic)’이라 불리는 메이저리그 포스트시즌이 한창 진행 중이다. 국내 KBO리그의 가을야구도 지난 3일 그 화려한 행진을 시작했다.

 

2019 프로야구가 던진 시사점은 무언가. ‘(반발력 좋은 공인구를 통한) 타고투저에서 (반발력 낮은 공인구로 변화를 준) 투고타저로’ 같은 경기적 측면 이외에, 2019년 프로야구가 문화로서, 산업의 한 축으로서 우리에게 가져다 준 변화의 의미를 정리해 본다.

 

작가 임흥택은 베스트셀러 『90년생이 온다』에서 우리 사회의 새로운 주류가 밀레니얼(1980년대 이후 출생자) 세대와 90년대 이후에 태어난 ‘또 다른 밀레니얼 세대’의 등장으로 변화를 맞고 있다고 했다. 그들의 사고와 정서를 이해하는 것이 사회 전체를 이해하는 시작점이다.

 

프로야구는 어떤가.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리더십의 세대교체다. 야구는 세대(generation)와 세대를 연결하는 스포츠로 표현된다. 출범 37년을 맞은 프로야구에 ‘원년 멤버’, ‘초창기 멤버’로 불리는 프로야구 출범 시기 멤버들은 이제 ‘정년’을 지났다. 그렇게 그 모든 분야에서 무대 뒤로 사라졌다. 김응용·김성근·김인식 전 감독들로 표현되는 이른바 ‘3김 야구’의 색깔은 올해 야구에서 점점 찾기 힘들어졌다.

 

▲ 이강철 감독

 

또한 10개 구단 감독은 어느 때보다 젊어졌다. 그리고 내년에는 어쩌면 더 젊어질 것이다. 이는 올해 첫 사령탑을 맡은 이동욱(45· NC), 이강철(53· kt) 감독의 활약과 무관하지 않다. 그들은 초보감독이라는 주위의 시선을 보란 듯 비웃고 정규시즌 5위, 6위라는 좋은 성적을 올렸다.

 

NC는 지난해 10위에서 5위로 올라서 가을야구에 돌아왔다. 2015년 정규리그에 합류한 뒤 3년간 10위, 지난해 9위를 기록한 kt는 세 계단을 점프해 6위를 차지했다. kt는 리그 진입 5년 만에 첫 시즌 승률 5할(71승 2무 71패)을 기록했다. 프로야구 9, 10 구단으로 출범해 2018년 10위, 9위였던 두 팀이 나란히 초보감독을 앞세워 5위, 6위라는 만만치 않은 성적을 올렸다. 그렇게 ‘감독의 경험’이라는 선입견은 무색해졌다.

▲ 이동욱 감독

 

선수단에서도 새로운 세대의 약진은 눈에 띈다. 타격 순위 3·4·5위를 기록하며 나란히 톱5에 이름을 올린 박민우(26·NC), 이정후(21·키움), 강백호(20·kt)가 그 선봉에 서 있다. 박민우는 나성범(30)이 부상으로 빠진 팀에서 주장을 맡아 밝고 활기 넘치는 ‘캡틴 박’ 리더십으로 팀을 가을야구로 이끌었다. 박민우는 이 과정에서 ‘주장은 고참이 한다’는 그동안의 고정관념을 깼다.

 

프로야구단을 비롯한 대부분의 스포츠팀은 경험 많은 베테랑 선수에게 주장을 맡긴다. 그러나 올해 여름 U-20 축구 월드컵에서 대한민국을 결승으로 끌어 올린 리더십 역시 선수단에서 ‘막내형’이라는 별명으로 불렸던 팀의 주니어 이강인(18·발렌시아)에게서 나왔다. 그는 주장은 아니었지만 분명한 리더였다. 리더십이 나이와 경험 이전에 선수단의 믿음에서 출발한다는 어떤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 준 사례다. 이 밖에 공격 전 부문에서 고르게 활약하며 프로야구를 대표하는 타자로 성장한 김하성(24·키움), 도루왕 박찬호(24·KIA), 구원부문 2위 고우석(21·LG) 등 20대 초반의 스타플레이어가 ‘프로야구의 주류’로 부각됐다.

 

KIA·롯데·삼성 등 순혈주의 강한 팀 부진

 

▲ 타구 상하 각도별 홈런 비율

 

올해 동반 부진한 KIA·롯데·삼성·한화 등은 지금까지 유난히 순혈주의가 강했던 팀이다. 지역 연고 출신, 친정팀 출신을 선호하는 정서가 팀 안에 있었다. 말이 좋아 순혈주의지 직설적으로 표현하면 지역색이다. 감독을 비롯한 코칭 스태프 구성이 그랬고, 같은 지역 명문고 출신 베테랑 선수가 리더가 되는 어떤 관습이 있었다.

 

올해 이들은 약속이나 한 듯이 부진했다. 반면 지난해 재계 라이벌 삼성 출신 류중일 감독을 사령탑으로 영입하고 라이벌팀의 스타플레이어 김현수(31)를 받아들인 LG는 올해 김현수에게 주장까지 맡겨 8위에서 4위로 껑충 올라섰다. LG에서 이 변화를 이끈 차명석 단장은 최근 ‘이영미(헤럴드스포츠 대표기자) 인터뷰’에서 류중일 감독과 주장 김현수의 역할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다. “다양성을 존중하자는 거죠. 미국 사회는 인종이나 종교, 출신국 등을 따지지 않고 이민자들을 하나로 녹여 번영을 일궜습니다. KBO리그도 좀 더 다양하고 유연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두 사람이 어느 출신인지 왜 중요할까요. 지금은 LG 감독님이고 주장인데요.” 차 단장은 이런 사고의 유연함과 소통력으로 LG를 상위권으로 이끌었다. LG는 성적과 인기를 바탕으로 10개 구단 가운데 유일하게 시즌 총 관중 100만 명을 넘어섰다.

 

이런 관점에서 롯데의 변화는 주목할 만하다. 롯데는 그동안 구단 내부에 순혈주의가 강하기로 소문난 팀 가운데 하나였다. 그런 파벌 의식 탓에 외국인 감독(로이스터)이 재임하던 시절의 성적이 오히려 좋았다는 말도 있었다. 그런 롯데가 지난달 야구유학파 출신 성민규(37) 단장을 선임했다. 성 단장은 취임과 함께 ‘과정(process)의 중요성과 그 정립’을 화두로 던졌다. 성 단장은 이를 위해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R&D 팀을 신설했다. 그리고 그 분야의 전문가들을 지역과 무관하게 영입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젊은 리더십에 발을 맞추고 지역의 벽이 허물어지는 시대의 흐름과 함께하는 호흡으로 여겨진다. 내년 롯데에 거는 기대가 커지는 이유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라는 산업 전반 변화의 흐름에서 중요한 하나는, 우리가 이제 그동안 측정하지 못했던 것들을 측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말은 지난 6월 26일 최태원 SK 회장이 ‘스파크랩스 데모데이’에 특별연사로 출연해 한 말이다. 경영학의 구루로 불리는 피터 드러커가 했던 “측정하지 않은 것은 관리할 수 없다”라는 말을 연상시키는 최 회장의 말은 기술의 발전을 통해 그동안 가늠할 수 없었던 어떤 현상들이 측정 가능해졌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기준을 정립하고 판단의 근거로 삼을 수 있게 되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또한 ‘기록의 종목’으로 불리는 야구가 빅데이터 시대를 맞아 새로운 영역의 측정이 가능해지면서 알아가고 있는 전문성, 깊이와 무관하지 않다.

 

나이·경험보다 능력·믿음의 리더십 통해

 

우리는 기술의 발전과 첨단 장비의 등장으로 야구의 새로운 영역을 측정하고 있다. 투수의 투구궤적에서 던진 공의 회전수, 타구의 발사각, 야수의 움직임과 수비 이동 스피드는 물론 1루를 거쳐 3루로, 홈으로 뛰는 주자의 스피드는 물론 움직임까지 측정이 가능한 시대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분석이 가능해졌다. 방송 미디어는 차별화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그래픽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또 각 구단의 전력분석팀은 야구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통해 선수와 경기의 특징을 잡아낸다. 이전까지 코치가 선수에게 전달하는 지도의 형태도 다양한 (모바일 기반의) 도구를 통해 전달된다. 그렇게 정보는 점점 실시간에 가까워지고, 휴대가 편리해지며, 맞춤형으로 개인화한다.

 

데이터 측정과 수집이 이뤄지는 영역은 경기장 안에서 뿐만이 아니다. 이제까지 어느 경기에 관중이 몇 명이었는지 집계하는 정도였다면, 이제는 어떤 팬이 어떤 경기에 무슨 이유로, 어떻게 티켓을 사서, 몇 시에 구장에 도착하며 어떤 좌석을 선호하고, 경기 중에는 어떤 음식을 먹는지가 모두 집계 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이런 마케팅 데이터를 다양한 팬 프로모션과 티켓 판매, 상품 기획에 활용할 수 있는 시대다. ‘데이터 야구’의 영역이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의 관점은 물론 프로야구 생태계 전반에서 구조화하고 있다.

 

프로야구 리더십은 나이와 경험보다 능력과 믿음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출신성분을 따지는 고정관념 역시 그 명분이 없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새롭게 측정 가능해진 데이터와 이를 활용하는 능력이 중시된다. 이는 스포츠가 다른 사회적 기능과 구분되어 ‘운동하는 그들만의 영역’으로 인식되던 환경을 벗어나 사회적·문화적·산업적 지식과 판단에 근거해 운영되기 시작했다는 의미다.

 

이태일 / 전 중앙일보 야구전문기자

 

자료출처 : 중앙SUNDAY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