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이 장미의 계절일 수만은 없다.
아직도 깊은 상흔(傷痕)이 아물지 않고 있는 우리에게는. 카인의 후예들이 미쳐 날뛰던 6월, 언어와 풍습과 핏줄이 같은 겨레끼리 총부리를 마주 겨누고 피를 흘리던 악(惡)의 계절에도 꽃은 피는가.
못다핀 채 뚝뚝 져버린 젊음들이, 그 젊은 넋들이 무수히 잠들어 있는 강건너 마을 동작동. 거기 가보면 전쟁이 뭐라는 걸 뼈에 사무치도록 알게 될 것이다. 그것도 남이 아닌 동쪽끼리의 상잔(相殘), 주의(主義)나 사상을 따지기에 앞서 겨레의 치욕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살아남은 사람들에게는 전쟁의 상처가 강건너 마을만큼이나 잊혀지고 있는 것 같다. 6월이 오면 하루나 이틀쯤 겨우 연중행사로 모였다가 흩어지고 마는 가벼운 기억들. 전장(戰場)에서 억울하게 죽은, 정말 억울하게 죽어간 그들이 남긴 마지막 발음(發音)이 무엇이었던가를 우리는 까맣게 잊어버리고 있다. 오늘의 이 사치와 허영과 패륜과 메울 길 없는 격차와 단절(斷切)을 가져오기 위해 그 무수한 젊음들이 죽어간 것이다.
국회의사당과 행정부처가 때로는 국립묘지로 이동해 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왜냐하면 국가 대사(國家大事)를 요리하는 선량(選良)이나 고급관리들에게 전쟁의 의미를 실감케 하고, 나아가 생과 사의 관념적인 거리를 단축시켜 주기 위해서. 이런 환경에서라면 정치의 탈을 쓴 흥정이나 음모가, 부패나 부정이 그래도 체면을 차리지 않을까 하는 희망에서인 것이다.
몇해 전 의사장 안의 풍경 한 조각. 바깥 싸움터로 군대를 보내느냐 마느냐 하는 가장 엄숙한 결단(決斷)의 마당에서 민의(民意)를 대변한다는 어떤 '손'들은 꾸벅꾸벅 졸고 있더란다. 아무리 자기자신은 싸움터에 나가지 않는다기로 이렇듯 소홀한 생명관리(生命管理)가 어디 있단 말인가. 그것이 비록 가난한 우리 처리로서는 빵과 목숨을 맞바꾸어야 하는 비극적인 상황이었다 할지라도.
적어도 그즐은 가부(可否)를 내리기 전에 한번쯤은 이 침묵(沈默)의 마을에 와야 했을 일이다. 그 무수한 젊음들이 피를 뿌리며 숨져갈 때 부르짖던 마지막 말이 무엇이었던가를 귀기울여 들어야 했었다.
전쟁이 용서못할 악이라는 것은 새삼스레 인류사를 들출 것도 없다. 어떠한 명분에서일지라도 살려는 목숨을 죽이고 평화로운 질서를 짓밟는 전쟁은 악이다.
야수처럼 서로 물고 뜯으며 피를 찾아 발광하는 살기(殺氣) 띤 눈이 결코 우리들 인간의 눈은 아니다.
무심한 꽃이 핀다 하기로 6월이 장미의 계절일 수만은 없다. 아직도 우리 조국(祖國)의 산하(山河)에서는.
1970년 6월 12일
法頂
[靈魂의 母音] 비가 내린다 (0) | 2007.02.11 |
---|---|
[靈魂의 母音] 상면(相面) (0) | 2007.02.11 |
[靈魂의 母音] 순수한 모순(矛盾) (0) | 2007.02.11 |
[靈魂의 母音] 종점(終點)에서 조명(照明)을 (0) | 2007.02.11 |
[靈魂의 母音] 아득한 모음(母音) (0) | 2007.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