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금융상품 자체를 대상으로 한 상품이 아니라 금융상품의 장래 가격변동을 예상해 만든 '금융상품의 가격 움직임을 상품화한 것'을 말한다.
통화·채권·주식 등 기초금융자산(underlying financial asset)의 가치변동에 의해 가격이 결정되는 금융계약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파생금융상품으로는 선물·선물환·옵션·스왑 등을 들 수 있다. 파생금융상품은 금융시장 참가자에게 폭넓은 위험헤지(hedge)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위험 선호도에 따라 자산을 구성하기 쉽게 하는 기능을 지닌다. 즉, 위험 회피자는 자산 및 부채의 가치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할 수 있으며 위험 선호자 또는 투기자는 이러한 변동을 예측함으로써 이익획득 기회를 얻을 수 있다.
파생금융상품시장은 장내시장과 장외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장내시장이란 가격 이외의 모든 거래요소가 표준화되어 있는 파생금융상품 거래시장으로서 거래소시장이라고도 한다. 장외시장이란 표준화되어 있지 않은 파생금융상품이 거래소를 통하지 않고 시장참가자간에 직접 거래되는 시장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장내시장으로는 한국증권거래소와 한국선물거래소(KOFEX: Korea Futures Exchange)가 있다. 한국증권거래소에는 주가지수선물시장(1996.5)과 주가지수옵션시장(1997.7)이 개설되어 있다. 1999년 4월 설립된 한국선물거래소에서는 미달러 선물 및 옵션, CD금리선물, 국채선물 및 코스닥50주가지수선물이 거래되고 있다. 장외 파생금융상품시장에서는 선물환, 스왑, 옵션, 선도금리계약 등이 거래되고 있다.
티저광고(Teaser Advertising) (0) | 2007.02.12 |
---|---|
파견근로제(派遣勤勞制) (0) | 2007.02.12 |
파업(罷業-strike) (0) | 2007.02.12 |
팜업광고(Palm up Advertisement) (0) | 2007.02.12 |
패러다임경영(Paradigm Management) (0) | 2007.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