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돈 관리를 해야 돼요
여러분은 용돈을 받고 있나요?
그리고 용돈을 혼자 힘으로 관리하고 있나요?
용돈을 자기 마음대로 쓸 수 있다고 해서 무조건 기뻐할 일은 아닙니다. 용돈 관리를 잘 해야 하는 책임이 여러분에게 뒤따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용돈 관리가 크게 어려운 일은 아니니까요.
그러면 중은이 아버지께서 중은이에게 가르쳐주신 용돈을 잘 관리하는 방법을 같이 볼까요?
수입과 지출 예산을 짜야 돼요
“중은아, 용돈관리를 잘 하려면 먼저 예산을 세워야 한단다. ‘예산을 세운다’는 말은 들어오는 돈이 얼마고, 또 그 돈을 어떻게 쓸 것인지에 대해 계획을 세우는 것을 말하지. 지난 번 놀이터에서 중은이가 아빠하고 시소를 탔을 때 아빠가 너무 무거워 시소가 아빠 쪽으로만 기우니까 재미없다고 한 적이 있지? 예산도 비슷하단다. 수입과 지출을 잘 맞춰야 해. 만약 들어오는 수입보다 나가는 지출이 많으면 예산을 다시 세워야 해. 우선 네가 받는 용돈이 너의 수입에 해당되지. 그리고 가끔씩 중은이가 심부름해서 버는 돈, 설날에 받는 세뱃돈, 할머니께서 주시는 돈도 모두 중은이의 수입이지. 수입을 다른 말로 소득이라고도 한단다. 수입이 얼마인지 파악한 다음에는 저축계획을 세우고 정해놓은 금액을 저축해야 해. 저축을 왜 해야 하는지는 앞에서 배운 적이 있지? 중은이가 미래에 사고 싶은 것을 사거나 하고 싶은 것을 하기 위해서 저축계획은 반드시 지켜야 한단다. 그리고 수입에서 저축하고 남은 돈이 중은이가 소비할 수 있는 돈이란다. 그렇다고 넘은 돈을 무작정 써버려서는 안 되겠지? 소비할 수 있는 돈도 계획에 따라 사용하는 습관을 지녀야 한단다. 이때 꼭 필요한 것만 사도록 해야 한단다. 만약 중은이가 장난감을 하나 사게 되면 다른 것을 살 수 없게 되기 때문이지. 이것을 기회비용이라고 한다는 것, 기억하고 있지? 중은아, 소비하기 전에 ‘내가 이 돈으로 정말 장난감을 사야 하는지. 장난감보다 더 필요한 물건은 없는지’를 다시 한 번 생각하는 습관을 지니면 불필요한 물건을 사고 난 후에 후회하는 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거야.”
예상치 못한 일에 돈을 써야 할 때가 있어요
“소비계획을 세울 때 자신이 사고 싶은 것이나 먹고 싶은 것만 생각해서는 안 된단다. 이번 주에 또는 이번 달에 돈이 들어가는 행사가 있는지를 반드시 생각해야 한단다. 이번 주에 엄마 생신이 있어 선물을 사드려야 하는데 이런 사실을 잊어버리고 자신에게 필요한 것만 사는 소비계획을 세운다면 이런 계획은 엉터리겠지? 돈이 들어가는 행사에는 친구나 가족의 생일 같은 것이 있지. 또 한 가지 명심할 일은 자신이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 생길 수도 있다는 점이야. 샤로 전학 온 친구가 생일 파티에 초대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고, 갑자기 어떤 학용품을 꼭 사야 하는 경우도 있지. 이런 때에 쓸 수 있는 돈을 일부 남겨두는 습관이 필요하단다.”
특별한 수입은 저축하는 것이 좋아요
“하지만 예상치 못한 소비만 있는 것은 아니란다. 가끔씩 특별한 수입이 생기기도 하지. 중은이가 설날에 받는 세뱃돈이아 지난주에 이모께서 중은이에게 주신 용돈이 특별한 수입에 해당하지. 특별한 수입은 저축해 놓았다가 나중에 예상하지 못한 소비가 생길 때나 아니면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하면 좋겠지?”
중은이는 아버지 말씀을 듣고 이제 용돈 관리를 잘 할 수 있는 자신이 생겼습니다.
그리고 중은이는 다음 용돈 받을 날을 손꼽아 기다립니다.
자료제공 : 한국은행
28. 주식 투자는 어디에서 하나요? - 금융, 금융기관 (0) | 2007.03.02 |
---|---|
29. 왜 소비계획을 세워야 하나요? - 소비, 소비계획 (0) | 2007.03.02 |
31. 왜 용돈기입장을 적어야 하나요? - 용돈기입장 (0) | 2007.03.02 |
한국은행이 제공하는 어린이 용돈기입장 (0) | 2007.03.02 |
32. 어떤 것이 현명하지 못한 소비인가요? - 합리적 소비 (0) | 2007.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