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기관끼리 영업활동 과정에서 남거나 모자라는 자금을 30일 이내의 초단기로 빌려주고 받는 것을 '콜'이라 부른다.
그리고 이때, 은행·보험·증권업자간에 이루어지는 초단기 대차(貸借)에 적용되는 금리가 바로 '콜금리'이다.
금융기관들이 공동 출자한 '한국자금중개주식회사'가 중개거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콜을 빌려주는 입장에서는 '콜론(call loan)', 빌리는 쪽에서는 '콜머니(call money)'라 한다. 콜금리라 함은 통상 콜 중개기관의 론금리를 가리킨다. 금융기관간의 직거래 방식도 허용되고 있으며 1∼30일까지의 자금 거래가 이루어지고 약 90% 이상이 1일물이다.
그러므로 통상 콜금리는 1일물(overnight) 금리를 의미하여 단기 자금의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결정된다. 콜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은행권의 지준 사정, 채권의 발행 및 상환, 기업체 등의 단기자금 수요, 기관의 단기자금 운용형태 등이 있고, CP(기업어음)금리·CD(양도성예금증서)금리 등 여타 단기금리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콜시장은 금융시장 전체의 자금흐름을 비교적 민감하게 반영하는 곳이기 때문에 이곳에서 결정되는 콜금리는 회사채 유통수익률이나 CD 유통수익률 등과 함께 시중의 자금사정을 반영하는 지표로 이용된다. 콜금리는 금융기관간 적용되는 금리이지만, 사실상 한국은행이 통제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상부기구인 '금융통화위원회'는 매달 한차례씩 정례회의를 열고 그달의 통화정책 방향을 정한다. 경기과열로 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면 콜금리를 높여 시중자금을 흡수하고, 경기가 너무 위축될 것 같으면 콜금리를 낮추어 경기활성화를 꾀한다.
코피티션(Coopetition) (0) | 2007.02.12 |
---|---|
콘텐츠(Contents) (0) | 2007.02.12 |
콜옵션(Call option) (0) | 2007.02.12 |
쿠키(Cookie) (0) | 2007.02.12 |
크레비즈(CreBiz) (0) | 2007.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