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축구생각] 선수 생명에 치명적인 발목부상을 피하라

--김병윤 축구

by econo0706 2022. 11. 9. 19:25

본문

2015. 07. 07

 

축구선수에게 무릎관절 부상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바로 발목부상이다. 발목은 주위를 여러 개의 인대가 둘러싸고 있으며 주요 혈관이 관통하고 있어, 부상 정도에 따라서 선수에게 중대한 영향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발목은 3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으며 관절의 손상 정도는 연령과 뼈 조직의 질, 손상 시 발의 위치, 힘의 방향, 힘의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발목관절 염좌는 통상 발목을 삐었다고 표현되는 질환이다. 발목관절 염좌는 발목이 안쪽으로 쉽게 꺾이는 데다 외측을 지지해주는 인대가,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외측인대손상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손상 초기에는 냉찜질로 통증을 감소하거나 테이핑을 통해 악화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선수들이 경기가 끝난 뒤 얼음 팩과 테이핑을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발목관절 염좌는 초음파나 저주파 등의 물리치료도 가능하고 소염제나 진통제의 약물치료도 가능하다. 과거에는 스테로이드 등의 주사를 놓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자연치유를 많이 권하는 추세이다. 증세가 심하다면 발목 보조기 등의 보조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골절의 치료는 깁스가 우선이며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도 필요하다.

아울러 발목부상과 함께 발의 피로골절도 역시 선수에게 예기치 않게 찾아오는 부상이다. 피로골절은 뼈에 질환이 있거나 외상을 당하지 않았으나 심한훈련 등으로 반복되는 자극에, 충격을 근육이 흡수하지 못하고 그대로 뼈의 일부분에 스트레스가 쌓여 생긴 골절로, 뼈가 완전히 부러지지 않고 일부분에 실금이 가거나 골절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피로골절은 발가락, 발뒤꿈치, 정강이뼈에서 많이 나타난다. 주로 관련부위를 누르면 아프고 붓는 증상이 나타난다. 대개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계속 운동하다 증상을 악화시키고 X레이 상으로도 쉽게 발견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무리하면 피로골절이 완전 골절로 진행되는 상황에까지 이를 수 있다. 이밖에 흔히 겪게 되는 찰과상, 타박, 뼈 골절, 관절탈구 등은 병원, 한약방 등에서, 보편적 치료를 요하는 부상으로서 깁스와 물리치료, 침술치료 등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렇다면 발목부상 시 깁스를 풀고 난 후 운동재개는 과연 어떻게 하여야 할까? 사실 이것이 매우 중요하다. 대개는 깁스를 풀고 난 후 곧바로 운동을 실시하는 예를 자주 보는데, 이는 극히 위험한 행위이며 오직 깁스를 풀고 난 후의 치료에 더욱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부상 부위를 원 상태로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장기간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먼저 물리치료, 약물치료, 강화운동, 수영, 조깅 등의 재활을 반복 실시하여야 한다.

특히 발목관절과 같은 관절의 골절, 인대. 근육 부상 등 상당 기간의 시간을 필요로 하는 부상은 깁스를 풀고 난 후의 치료가 더욱 중요하며, 만약 이를 소홀히 할 때에는 부상 재발과 선수 생활을 중단해야 하는 결과까지도 초래한다.

부상은 예고가 없다. 오직 순간적인 실수와 방심으로 나타난다. 그래서 선수들의 부상 방지를 위해서는 정신력 강화와 집중력, 강한 책임감이 뒤따라야 한다. 아울러 준비. 정리운동 소홀, 경기장 여건미흡, 강한의욕, 경기에 대한 부담감, 무리한 훈련, 체력 저하도 선수들의 부상을 가져오는 원인이다. 이에 발목관절의 근육과 유연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평상시 강화 훈련을 꾸준히 실시할 필요성이 있다.

부상은 기량향상의 발목을 잡는 적이며 또한 결정적일 때 팀의 전력을 최악의 상태로 빠뜨릴 수 있다. 그래서 선수 각자나 지도자는 부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부상 예방과 방지를 위하여 항시도 긴장을 늦춰서는 안 된다. 만약 부상을 당했을 경우 우선 올바른 진단과 치료가 관건임을 직시하고 이의 치료 및 재활에 전념할 수 있는 가운데 빠른 시간 내에 훈련에 복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그것이 곧 선수 개인과 팀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다.

 

김병윤 / 용인시축구센터 신갈고 코치 saong50@sportalkorea.com

 

스포탈코리아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