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올라가요
한은이는 추석 차례 음식을 마련하기 위해 할인점에 가는 어머니를 따라나섰습니다. 할인점에 도착한 한은이는 과일 가격을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엄마, 지난주에 왔을 때만 해도 배 한 개에 2,000원이었는데 오늘은 3,000원이나 하네요? 왜 일주일 사이에 배 가격이 이렇게 올랐죠?”
“배 가격뿐이 아니란다. 사과 가격도 많이 올랐고 생선 각겨도 올랐단다.”
“어마, 물건 가격이 왜 오른 거죠?”
“한은아, 생각해 보렴. 시장에 배가 있는데 배를 사려는 사람이 많아지면 배 가격이 오르겠니 아니면 내리겠니?”
“오르겠죠.”
“그래, 그렇지. 수요가 많아지면 가격이 오른단다. 추석 때에는 차례를 지내려고 배를 사는 사람들이 많아진단다. 그러니 배 가격이 오를 수밖에.”
“그러면 수요가 줄어들면 가격이 내리나요?”
“우리 한은이, 매우 똑똑하구나. 사려는 사람이 줄어들면 당연히 가격이 내려가겠지.”
“아하, 그래서 유행이 지난 옷은 가격이 싼 거구나.”
공급이 감소해도 가격이 올라요
한은이의 질문이 이어집니다.
“그러면 지난 번 장마철에 상추 가격이 오른 것은 왜 그렇죠? 장마철이라고 사람들이 상추를 더 많이 먹는 것은 아니잖아요?”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고 했지? 장마철에 상추 가격이 오르는 것은 공급 때문이란다.”
“공급 때문이라고요?”
“장마철에 비가 많아 오면 농부들이 상추를 시장에 내놓지 못하여 공급이 줄어들지. 시장에 상추가 적어지면 가격은 어떻게 될까?”
“그야 사려는 사람이 그대로인데 상추가 적게 공급되면 가격이 올라가요.”
“우리 한은이가 이제 경제 박사가 다 되었구나. 한은이 말대로 공급이 감소하면 가격이 오르게 된다.”
“반대로 공급이 증가하면 가격이 내리고요?”
“그렇지. 네가 좋아하는 수박이 본격적으로 수확되는 여름에는 공급이 늘어나 수박 가격이 내려가지.”
“아하, 이제 중동 지역에서 전쟁이 나면 석유 가격이 오르는 이유를 알겠어요. 전쟁이 나면 석유 공급이 줄어드니까 그런 거죠?”
수요나 공급이 변하면 가격도 따라서 변해요
앞서 이야기 했듯이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수요가 변하거나 공급이 변하면 가격도 변하게 됩니다.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이 오릅니다. 반대로 수요가 감소하면 가격이 내립니다.
공급이 증가하면 가격이 내립니다. 반대로 공급이 감소하면 가격이 오릅니다.
자료제공 : 한국은행
41. 시장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요? - 시장 (0) | 2007.03.02 |
---|---|
42. 가격은 누가 결정하나요? - 가격, 수요, 공급 (0) | 2007.03.02 |
45. 왜 배가 사과보다 비싼가요? (0) | 2007.03.02 |
46. 왜 백화점은 할인판매를 하나요? - 수요․공급의 법칙 (0) | 2007.03.02 |
47. 조류독감이 발생했는데 왜 돼지고기 가격이 오르나요? - 대체재 (0) | 2007.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