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을 억지로 막으면 안돼요
오늘날의 세계는 개방경제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오늘날 우리는 세계화 시대에 살고 있다고도 합니다.
그만큼 나라 사이의 담장이 허물어지고 있으며 국제교류가 활발해 지고 있다는 말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와 무역하지 않은 채 우리 문을 꼭꼭 걸어 잠그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이런 소극적인 자세로는 개방경제 시대에서 살아남기 어렵습니다. 다른 나라들은 서로 어울려 잘 살아가는데 우리만 따돌림을 당하며 국제 외톨이가 될 수는 없습니다.
그런데 아직도 수출은 많이 하고 수입은 하지 말아야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우리가 만든 것은 다른 나라에 많이 팔아야 하며 다른 나라가 만든 것은 수입하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 물건을 수입하지 않으려고 우리나라 문을 꼭 걸어 잠그면 다른 나라도 우리나라 물건을 수입하지 않기 위해서 자기네 문을 꼭 걸어 잠그기 마련입니다.
그러면 두 나라는 무역을 하지 못하게 되고 모두 피해를 봅니다.
우리 문은 잠근 채로 다른 나라에서 수입하지 않으면서, 우리 물건만 다른 나라에 많이 수출하려고 하는 것은 지나친 욕심입니다. 다른 나라가 가만히 있을 리 없습니다.
물론 자기 나라에게 아주 중요하고 특별한 물건은 외국의 물건과 경쟁할 수 있을 때까지 당분간 수입을 못하게 할 필요는 있습니다. 이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서로 공정하게 경쟁하면서 상대방 나라가 저렴하게 생산한 질 좋은 물건이 있으면 수입해야 합니다.
수출을 더 많이 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해요
물론 우리가 수입을 하면 그만큼 돈이 다른 나라로 빠져나갑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서 석유, 밀가루 등을 수입하기 위해 필요한 돈을 충분하게 벌어야 합니다.
우리나라가 돈을 버는 방법은 우리가 만든 재화나 서비스를 다른 나라에 수출하는 것입니다.
앞에서 본 것처럼 다른 나라와의 무역을 거부하거나 수입을 억지로 막는 것은 어리석은 짓입니다. 그보다는 다른 나라 사람들이 우리나라가 만든 재화나 서비스를 더 많이 수입해 가도록 더 좋은 제품을 만드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즉, 기업들은 소비자들이 왜 외국 물건을 사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 물건이 외국 것에 비해 어떤 점에서 떨어지는지를 연구하고 열심히 기술 개발하여 외국 것보다 더 좋으 물건을 만들어내야 합니다.
우리가 외국 물건보다 성능이 더 뛰어난 것을 생산할 수 있다면 굳이 외국 물건을 수입할 필요가 없어질 것입니다.
자료제공 : 한국은행
49. 왜 다른 나라와 무역을 하나요? - 수출, 수입, 무역 (0) | 2007.03.02 |
---|---|
50. 무역을 하면 두 사람 모두 이익을 얻어요 - 무역 (0) | 2007.03.02 |
동화로 보는 경제 7 (0) | 2007.03.02 |
52. 무조건 국산품을 사야 하나요? - 합리적 소비 (0) | 2007.03.02 |
53. 환율이 무엇인가요? - 환율 (0) | 2007.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