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 내리다가 맑게 갠 날, 개울가에 앉아 흐르는 물에 벼루를 씻었다.
잔잔히 흐르는 개울물 소리를 들으면서 벼루를 씻고 있으니 마음이 그렇게 편안할 수가 없었다. 문득 내 안에서 은은한 묵향이 배어 나오는 것 같았다.
이렇듯 말게 흐르는 개울물도 사나운 폭풍우를 만나면 흙탕물로 온통 폭포를 이루어, 골짜기가 떠나갈 듯이 소란스럽다. 이런 날은 자연의 일부분인 내 마음도 스산해져서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 밤에는 넘치는 물소리 때문에 깊은 잠을 이루지 못한다. 같은 산중에 사는 나무와 짐승과 새들도 그런 내 기분과 마찬가지일 것이다. 살아 있는 것들은 모두 한 생명의 뿌리에서 나누어진 가지들이기 때문이다.
인적이 끊긴 깊은 산중에서 길을 잃고 헤매던 나그네가 그 산중에 은거하고 있는 한 노승을 만나 마을로 내려가는 길을 물었다. 노승은 단 한 마디로 '흐름을 따라가게隨流去'라고 일러 주었다. 산중의 개울물은 이 골짝 저 골짝을 거쳐 마침내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촌락으로 지나가게 마련이다.
흐름을 따라가라는 이런 가르침은 인생의 길목에도 적용될 것이다. 세상을 살다가 갈 길이 막히면 절망을 한다. 이런 때는 뛰어넘을 수 없는 벽 앞에서 절망할 게 아니라 '흐름'을 찾아야 한다. 그 흐름은 마음이 열려야 만날 수 있다. 지금까지 쌓아온 벽을 미련없이 허물고 다리를 놓아야 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를 갈라놓는 것은 벽이고, 이어주는 것은 다리다. 벽은 탐욕과 미움과 시새움과 어리석음으로 인해 두터워 가고 다리는 신의와 인정 그리고 도리로 인해 놓여진다. 다리는 활짝 열린 마음끼리 만나는 길목이다. 좋은 세상이란 사람과 사람 사이에 믿음과 사랑의 다리가 놓여진 세상이다.
내 오두막에 일이 있을 때면 와서 거들어 주는 산촌의 일꾼이 있는데, 아침나절 그가 올라와 이런저런 이야기 끝에 "이번에는 또 어떤 사람이 나와서 뭘 해먹을지 알 수 없군요"라고 했다. 물론 금년 말에 있을 대선을 의식, 청와대에 들어가고 싶어하는 사람들을 두고 한 말일 것이다.
그가 남기고 간 이 말이 짙은 여운을 남긴 채 내 머릿속에서 맴돌았다. 돌이켜보면 우리는 그동안 참으로 불행한 역사를 만들어 온 것 같다. 국권을 국민들로부터 위임받은 대통령 중에서 단 한 사람도 신뢰와 존경을 받는 이가 없었다니 얼마나 불행한 역사인가.
독선과 아집으로 나라가 위태로워지자 국외로 피신 객사한 대통령, 군인들의 총칼 앞에 맥없이 자리를 비켜선, 기억도 희미한 대통령, 쿠데타로 정원을 탈취하여 장기집권으로 인권을 무참히 유린하다가 마침내 피비린내를 풍기면서 막을 거둔 유신독재의 대통령, 내란을 일으켜 권력을 잡고 그 권력을 이용해서 부당하게 축재한 죄로 오늘도 감옥에서 옥살이를 하고 있는 전직 두 대통령, 개혁을 부르짖다가 경제를 파탄에 이르게 하고 분수를 모르고 설친 자식 때문에 모처럼 세운 문민정부의 위상도 묻혀 버린 풀 죽은 현직 대통령.
과거와 현재를 통해 7인의 대통령을 하나하나 헤아려 보아도, 어느 한 사람 우리가 존경하고 받들 인물이 없다는 것은, 그 당사자의 불행이기에 앞서 우리 모두의 불행이 아닐 수 없다. 집터가 그래서인지, 들어가는 사람마다 그런 사람들이어서 그런지 한 사람도 뒤끝이 온전한 사람이 없다. 그런데도 서로가 앞다투어 그 집에 들어가겠다고 말 그대로 난장판이다.
자신이 대통령이 되어야만 나라가 바로 선다고 호언장담하는 대통령 지망생들, 오로지 표를 얻기 위해 한 입으로 이 지역에 가서는 이렇게 말하고, 저 지역에 가서는 저렇게 말하는 겉과 속이 다른 정치꾼들을 보면서, 문득 흐루시쵸프가 한 말이 떠올랐다.
'정치가란 시냇물이 없어도 다리를 놓겠다고 허풍을 떠는 자들이다.'
올 한 해는 청와대에 들어가 살고 싶어하는 사람들 때문에 나라 안이 온통 시끌시끌할 것이다. 오늘 아침 현재 여덟 사람이 들떠있지만 결국은 영광스런, 아니 고독한 그 한자리를 위해 나머지 사람들은 들러리가 되어야 한다. 막판에 가면 고질적이고 망국적인 저 지역감정에 또 불이 붙을지 모르겠다. 이번에도 그렇게 되면 우리는 무엇이 될 것인가.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변해 가고 있는데 우리는 해 묵은 수렁에서 언제쯤 헤어나올지 걱정이 앞선다.
대통령 지망생들에게 희망과 기대를 갖기보다는 순박한 산촌 사람 입에서 "이번에는 또 어떤 사람이 나와 뭘 해먹을지 알 수 없군요"라는 말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은, 국민들의 마음이 그만큼 정치가들에 의해서 멍이 들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 같은 불신의 상처부터 치유해 줄 수 있는 정직하고 능력있는 사람이 그 집으로 들어갔으면 좋겠다. 퇴임 후에도 증언대에 서거나 감옥에 들어가지 않고, 그 인품과 업적을 온 국민이 기릴 수 있는 덕망있는 사람이 그 집 주인이 되었으면 좋겠다.
1997 法頂
[오두막 便紙] 오두막 편지 (0) | 2007.02.15 |
---|---|
[오두막 便紙] 인간의 가슴을 잃지 않는다면 (0) | 2007.02.15 |
[오두막 便紙] 가난한 절이 그립다 (0) | 2007.02.15 |
[오두막 便紙] 어느 오두막에서 (0) | 2007.02.13 |
[오두막 便紙] 섬진 윗마을의 매화(梅花) (0) | 2007.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