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산(資産 - asset)

청소년 경제辭典

by econo0706 2007. 2. 20. 19:15

본문

사전자산이라는 용어는 A. C. 리틀톤에 의하면 16세기 영국의 유언법에 '유언자의 유증(遺贈)을 하기에 충분한 재산'이라는 뜻의 법률적 의미로 사용되었는데, 그후 파산시 채무를 지급하는 데 쓰일 재산이라는 뜻으로 바뀌었고, 다시 채권자가 기업의 지급능력에 의문을 갖고 있을 때 기업가가 채권자를 그 의문으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는 재산이라는 말로 점차 변화해왔다.

 

그후 자산개념은 회계이론의 변환과정에 따라 다르게 이해된다. 회계이론은 정태론과 동태론으로 구분지을 수 있는데, 정태론에서는 자산을 재산개념으로 이해하고 동태론에서는 미소비된 원가, 용역잠재력으로 이해한다. 정태론은 회계의 목적을 기업의 재산상태를 파악하는 데 있다고 보기 때문에 이 목적을 위해 대차대조표에 기재되는 물적인 재산을 자산이라고 했다.

 

그러나 재산에 관한 견해가 다양하므로 자산개념은 명백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J. E. 쉐어에 의하면 재산은 적극재산인 자산과 소극재산인 부채로 구성되는데 양자의 차액이 순재산, 즉 자본이라고 했다. 그러므로 적극재산은 자산을 의미한다.
 
H. 니크리쉬는 재산을 자산과 동일한 것으로 보고 타인자본과 자기자본을 합한 것이 총재산, 즉 자산이라고 보았다. 동태론에서는 회계의 목적을 기업의 단순한 재산상태를 파악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기업의 경제성과 이익을 측정하는 데 있다고 보는 이론이다. 따라서 회계의 중심과제도 종래의 대차대조표의 작성보다는 손익계산서의 작성에 더 많은 비중을 두게 됨에 따라 자산의 개념도 손익계산의 체계에서 이해하여 미래의 비용 또는 원가의 미소비 부분으로 본다.
 
그러나 이것은 자산개념을 비용개념에 포함시켜 이해하기 때문에 자산과 비용이 구분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자산을 '특정의 회계실체 내에서 기업목적에 공여된 경제자원으로서, 기대되는 경영활동에 이용할 수 있고 또 기여하는 용역잠재력의 총계액'이라고 정의하고 화폐성 자산이나 비화폐성 자산 모두를 포함하여 용역잠재력을 지닌 것은 자산으로 보고 있다.
 
자산의 특징은 3가지로 ① 예상되는 장래의 경제적 효익이 있어야 하며, ② 특정의 실체에 의하여 통제되고 있어야 하고, ③ 과거의 거래 또는 사실의 결과로서 나타난 것이어야 한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