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자본(資本)

청소년 경제辭典

by econo0706 2007. 2. 20. 20:31

본문

사전경제학에서 자본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의미를 가지나, 어떤 경우에도 자본은 플로 변수로서의 소득 개념과 대조되는 스톡 변수로 취급된다.

 

가장 일반적인 의미에서 자본은 인구·숙련·능력·교육 등의 비물질적 요소와 토지·건물·기계·장비 등을 포함하며, 또한 기업과 가계가 보유하고 있는 중간재·완제품까지 포괄한다.

 
기업에서 자본의 개념은 대차대조표의 한 항목을 구성하며, 기업 활동을 통해 생산되지 않은 기업 순가치의 일부분을 의미한다. 경제학에서 자본의 개념은 일반적으로 금융자산과 대조되는 실물자산만을 의미한다. 두 개념은 상이한 것같이 보이지만 무관하지는 않다. 폐쇄경제에서 사회 전체의 대차대조표를 통합하면 모든 부채는 상쇄된다. 이는 모든 부채가 어떤 대차대조표에서는 자산이며, 어떤 대차대조표에서는 채무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통합된 대차대조표의 한 변에는 사회 전체의 실질자산의 가치가 기록되고, 다른 변에는 순가치의 총액이 기록된다. 이것이 경제학의 자본 개념이다.
 

기업이 보유한 재화와 가계가 보유한 재화를 구분할 수 있는데, 대체로 자본개념은 전자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생산된 재화와 자연물을 구분할 수 있는데, 여기서도 자본이라는 용어를 전자에 한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이를 구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자본은 또한 인적 자본과 비인적 자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노예제 사회에서 인간은 가축이나 기계와 같이 자본으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자유경제사회에서는 인간의 육체와 정신의 가치가 거래의 대상이 되지 않으며, 회계체제에 포함되지 않는다. 엄밀한 의미에서 인간은 계속해서 사회적 자본의 한 부분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총 스톡 중 회계체제에 포함되는 부분과 포함되지 않는 부분을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인적 자본을 자본 스톡에서 제외시킨다.
 

자본은 또한 유동자본과 고정자본으로 나뉜다. 고정자본은 토지·건물·기계 등의 생산 과정에서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자본을 말한다. 유동자본은 생산중인 재화, 원자재, 판매될 완제품과 같이 재화의 형체가 변형된다. 하지만 이것은 자본의 상대적 구조, 즉 다양한 재화들의 존재비율에 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실물자본 스톡은 높은 보완성을 지닌다. 예를 들어 숙련된 기술자나 원자재가 없다면 기계는 쓸모 없게 된다.

'청소년 경제辭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자본(自己資本)  (0) 2007.02.20
자발적(自發的) 협약제도(協約制度)  (0) 2007.02.20
자본경영(資本經營)  (0) 2007.02.20
자본수지(資本收支)  (0) 2007.02.20
자산(資産 - asset)  (0) 2007.02.2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