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축구생각] 골 결정력 부족, 이제는 꼬리표를 떼자

--김병윤 축구

by econo0706 2022. 9. 25. 17:48

본문

2013. 11. 26.

 

한국축구의 최대 고질적 문제점 중 하나를 꼽으라면 슈팅(Shooting)의 정확성(골 결정력) 부족이랄 수 있다.

이는 유소년부터 대표팀까지 해당되는 사항으로 한국축구의 한 단계 도약과 국제대회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이의 개선과 향상이 필요하다. 슈팅의 방법은 팔을 제외한 신체의 그 어느 부위로도 가능하다. 그러나 슈팅에 의한 '골(Goai)'을 얻기란 그리 쉽지 않다.

 

손흥민이 브렌트포드와의 리그컵 4강전에서 유럽 통산 150호골을 넣은 이후 세레머리를 펼치고 있다. / ⓒ 토트넘 트위터 캡쳐


오늘날 한국축구의 슈팅에 부정확은 여건, 환경과 무관하지 않다.

그동안 한국축구는 맨땅이라는 척박한 여건과 환경 속에서, 슈팅의 부정확이 잉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울러 훈련 방법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한국축구는 2002년 국제축구연맹(FIFA) 한일 월드컵을 통하여 4강을 성취했고, 2012년 런던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함으로써 축구 선진국이라는 자부심과 긍지를 갖게 됐다.

현재 한국축구 여건과 환경은 축구 선진국 수준에 도달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선수들의 슈팅에 의한 골 결정력만큼은 축구 후진국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다. 슈팅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본기와 집중력이다. 기본기와 집중력이 결여된 슈팅으로는 '골'이라는 궁극적인 목표에 도달할 수 없다. 아울러 선수들이 슈팅 시 갖아야할 중요한 포인트는 바로 슈팅에 대한 템포 조절이다.

현재 한국선수들의 슈팅 방법은 강약을 조절하지 못하면서 오직 '강'함만을 염두에 둔 슈팅 훈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문제는 여기에서 비롯된다. 슈팅은 상황에 따라 강약을 조절하는 지혜가 필요하며, 아울러 골키퍼(GK)의 타이밍을 뺏는 상황 판단력도 필요하다. '자신이 골을 넣을 수 있어도 자신보다 더 좋은 위치에 있는 선수가 있으면, 미련 없이 그 선수에게 패스하여 골을 얻도록 하라' ‘슈팅은 패스하는 기분으로’라는 말은 축구의 법도에 해당된다. 만약 이 같은 사실에 충실하지 않으면 개인의 욕심으로 인한, 득점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

슈팅은 쉽고도 어려운 축구의 최고 기술 중에 하나다. 이의 습득을 위해서는 반복 훈련은 필수며 거리, 각도에 따른 개인, 부분적인 훈련이 뒤따라야 한다. 도식적이고 형식적인 훈련은 골 결정력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한다. 선수 개인 역시도 과감성, 침착성, 볼 컨트롤 능력, 동물적 감각, 맑은 눈을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 여기에 명석한 두뇌는 필수다.

 

▲ 사진은 이근호의 슈팅 모습으로 본기사의 특정사실과 연관 없음.


득점 & 스트라이커

현대축구에서 불가분의 관계다. 그렇기 때문에 골 결정력 향상을 위해서는, 축구에 대한 소질, 재질, 우수한 신체적 조건과 뛰어난 피지컬 그리고 집요한 도전정신을 가진 스트라이커 육성이, 곧 골 결정력 부족을 극복할 수 있는 지름길이다. 스트라이커는 선천적으로 타고나야 하지만 또한 후천적으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 같은 스트라이커를 활용하는 것은 전적으로 지도자다.

한국축구에 유능한 스트라이커는 많다.

그 많은 스트라이커를 어떻게 육성하고 활용하여 득점력 향상을 꾀하느냐? 이는 숙제요 과제다. 슈팅에 의한 득점은 축구의 최후에 수단이고 목적이어서 무엇보다 과정이 중요시된다. '문전처리 미숙'이라는 한국축구의 꼬리표도 이 과정속에 훈련과 득점의 목표와 의미에 대한 중요성을 소홀해 왔기 때문에 잉태됐다.

누가 뭐라해도 슈팅에 의한 ‘골’ 결정력 향상은 선수와 지도자의 의식에 달려 있다. 그래서 이제 슈팅에 대한 단순함과 형식적인 사고력은 버려야 한다.

사실 그동안 한국축구에 이 같은 의식이 뿌리박혀 있어 결정적인 순간 한국축구는 땅을 쳤고, 또한 축구 발전에 발목을 잡는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했다. 한국축구는 이제 그 뿌리를 뽑지 않으면 FIFA월드컵 본선 8연속 진출 국가라는 자부심과 긍지도 잃게 될는지 모른다.

 

김병윤 / 전 전주공고 감독

 

자료출처 : 스포탈코리아

관련글 더보기